반응형 개발/CS5 컴퓨터 네트워크 - 4) 전송 계층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이 세 계층이 있으면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보낼 순 있지만 데이터의 손상/유실은 보장해주지 않는다. 그래서 전송 계층이 필요하다. 전송 계층은 1)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요청하고 2)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함으로써 목적지까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한다. 다중화와 역다중화 전송 계층은 다중화(multiplex)와 역다중화(demultiplex)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중화는 소켓들로부터 데이터를 모으고, 세그먼트 생성을 위한 헤더 정보를 기반으로 이들을 캡슐화하여 네트워크 계층으로 보내는 것이다. 역다중화는 전송 계층 세그먼트의 데이터를 올바른 소켓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전송 계층은 포트(port)를 통해 이러.. 2019. 4. 13. 컴퓨터 네트워크 - 3)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만 통신이 가능했다면, 네트워크 계층은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케 한다. 이때 라우터(router)라는 장비가 사용되는데, 라우터는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을지 알려준다. 한편 경로를 알려면 목적지를 알아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IP 주소이다. 데이터링크 계층의 이더넷 헤더에 목적지 MAC 주소와 출발지 MAC 주소가 있었다면, 네트워크 계층의 IP 헤더에는 출발지 IP 주소와 목적지 IP 주소가 있다. 참고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데이터에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추가된 것을 프레임이라 한 것에 반해,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에 IP 헤더가 추가된 것을 IP 패킷이라 한다. IP 주소의 구조 IP 주소는 ISP로부터 받을 수 있다. 공인 .. 2019. 4. 11. 컴퓨터 네트워크 - 2) 데이터링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한다. 이 계층에서 가장 유명한 프로토콜은 이더넷(Ethernet)이다. 허브는 목적지를 판단하지 못해 모든 컴퓨터로 신호를 보내는데, 이더넷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목적지 외에는 신호를 무시하도록 한다. CSMA/CD 컴퓨터 여러 대가 신호를 보내면 데이터들이 서로 부딪혀 충돌(collision)이 일어나는데 이를 막기 위해 이더넷은 CSMA/CD를 사용한다. CSMA/CD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의 약자이다. 데이터를 보내려 하는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한 뒤(CS) 없다면 데이터를 보내고(MA),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 2019. 4. 9. 컴퓨터 네트워크 - 1) 물리 계층 전기 신호에는 물결 모양의 아날로그 신호와 막대 모형의 디지털 신호가 있는데, 물리 계층에서는 네트워크 카드를 통해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를 디지털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케이블 네트워크의 전송 매체(데이터가 흐르는 물리적인 선로)는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뉘어진다. 유선에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광케이블 등이 있고, 무선에는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등이 있다. UTP(Unshielded Twisted Pair): 구리(copper)선 여덟 개를 두 개씩 꼬아 만든 네 쌍의 전선이다. 실드(shield; 금속 호일이나 매듭 같은 것으로 외부 노이즈를 막음)로 보호되어 있지 않지만 가격이 저렴하여 많이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 품질에 따라 Cate5e, Cate5, Cate6 등으로 분류된다. .. 2019. 4. 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