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먹방
- API
- AWS
- Project Euler
- 게임
- Python
- C#
- django
- github
- coursera
- 몽골여행
- codility
- 블라디보스토크
- FPS
- 퍼즐게임
- pycon
- 컴퓨터네트워크
- certbot
- 알고리즘
- 프로젝트오일러
- 우분투
- 워킹데드
- flask
- 인디게임
- 파이썬
- 그래픽노블
- 스팀
- https
- lambda
- 중국맛집
- Today
- 19
- Total
- 323,616
목록분류 전체보기 (244)
YUDA't

몽골이 인기 해외여행지가 아니다보니, 여행 정보가 유럽이나 동남아보다 훨씬 적다. 숙소를 예약했다가 막상 가니 호텔이나 게스트하우스가 사라진(?) 사례도 있다 하여, 그냥 투어사에 호텔을 추천해달라 했다. 그렇게 추천받은 곳이 'H9 호텔 나인'이었는데, 위치나 후기가 좋아 고민할 여지없이 선택하게 되었다. 2인 1실이었고 인당 6.5만원 정도 들었다. 프론트는 영어 가능이었다. 체크인하고 들어갔는데 내부가 꽤 넓고 엄청 깨끗했다. 사진은 없다. 내가 비행기에서 심한 두통을 겪은지라 씻고 바로 잤기 때문에... 다른 친구들은 1층에 있는 펍에서 맥주를 사와 조촐한 파티를 벌였다고 한다. 참고로 바로 앞에 씨유가 있는데 밤에는 열지 않는다.

몽골여행 하기 가장 좋은 달은 7-8월이라고 한다. 8월은 한국의 4월 날씨 정도라 생각하면 된다는데, 나는 8월 말에 간 거라 좀 더 추웠다. 또 울란바토르와 사막의 기온차도 좀 있어서, 대강 3월 ~ 7월 옷가지를 가져가는 것을 추천한다. 8월 중순-말 옷차림 참고로 여행기간은 8.19-27이었다. 가이드가 여름은 지났다고 했다. 가져간 옷은 이렇게였는데, - 반팔 4, 맨투맨 3, 기모후드 1, 초겨울용 바람막이 1 - 얇은 면바지 1, 츄리닝 1, 기모 츄리닝 1, 청바지 1, 여름용 조거팬츠 1 - 스카프(!) - 사실 반팔은 안에 받쳐입기만 했고 이것만 입은 적은 없었다. 내가 추위를 유독 많이 타는 편이라 그런 것 같다. 일행 중에는 사막 한낮에 반팔을 입고 다닌 친구들도 있었다. - 기모후..

몽골...몽골이란 어떤 여행지인가... 여럿이서 여행 얘기 하다 누군가가 '별 보러 몽골 가고 싶어!' 하면 '나도나도!' 하며 맞장구치다 싹 잊어버리는 그런 여행지다. 헌데 코로나 시국이 2년을 넘어가면서 슬슬 해외여행을 찾아보던 차에, 한 친구가 대뜸 몽골행 비행기를 끊었다며 함께 가겠느냐고 물었다. 사실 그전까지만 해도 오랜만의 여행이니 당연히 휴양지로 가겠다 마음먹었는데, 이럴 때 안 가면 언제 가보냐 싶어서 나도 함께 가기로 했다. 여행 루트 정하기 몽골 여행 루트는 크게 두 가지이다. 실 투어 기간이 3박에서 7박 정도라면 울란바토르 근교 초원인 테를지와 남고비사막을 주로 가고, 10일 이상이라면 몽골 북서쪽 지역인 홉스골도 함께 간다. 보통 이렇다는 것이고, 따로 원하는 루트가 있다면 여행사..

신도림운전면허 학원에서 총 55만원인가를 내고 등록했다. (시험비 별도) 필기/장내기능/도로주행 전부 한 번에 합격함 헤헤 필기 전날 3시간 정도 공부함 장내기능 새벽에 나가서 교육받았다. 강사님이 나를 주차의 달인으로 만들어놓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는데, 100점 맞았다! 도로주행 역시 새벽에 나가서 교육받았다. 장내기능은 새벽이라도 밝게 해놔서 상관 없었는데 도로주행은 캄캄해서 영 감이 안 잡혔다. 유튜브로 각 코스들 열 번 정도씩 돌려보니까 좀 감이 잡히더라. 이제 면허는 장롱으로...

국내여행을 네 번, 세미나를 스물 한 개, 회사를 세 곳 다녔다. 이직한 회사를 3개월 만에 그만두고 나서 바로 외주 일을 시작했다. 친구들이 넌 쉬지도 않냐고 했는데, 어쩌다보니 그렇게 됐다.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대학 다닐 적에 시는 써봤어도 소설 쓰는 건 처음이었다. 새벽에 일어나 쓰고, 밤에 쓰고, 주말에 어디 한적한 카페에 앉아 쓰고 해서 완결을 냈다. 적지만 돈도 벌었고, 몇 명의 팬이 생겼다. 솔직히 너무 기뻐서 동네방네 다 자랑하고 다녔다. 쌍둥이와 화실을 다니기 시작했다. 6-7년 전쯤, 이화여대 근처에서 다니던 화실인데 지금은 남산 타워 바로 밑에 있다. 선생님은 20대 초반의 내가 미주알고주알 늘어놓던 이야기들을 전부 기억하고 계셨다. 더 이상 미루고 싶지 않아서 운전면허 학원에 등..

vue router를 사용해 /login이라거나 /register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시켰는가... 만약 Netlify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이걸 배포했을 때 404 페이지가 뜬다. https://docs.netlify.com/routing/redirects/#syntax-for-the-redirects-file Redirects and rewrites You can configure redirect and rewrite rules for your Netlify site in two ways: Syntax for the _redirects file In a _redirects file, each redirect rule must be listed on a separate line, with the or..

프리랜서로 일한 지도 두 달인데, 항상 고민되는 건 근무지다. 처음엔 '당연히 집이지! 난 집에서 집중 잘 된다!' 였는데, 집에 거주하는 평균 인원 수가 3-4명이라 (아빠는 정년퇴직, 쌍둥이는 방학) 그게 쉽지 않더라. 그래서 본의 아니게 서울 디지털 노마드가 되었다. 처음 찾은 곳은 학교!! 졸업생은 2년에 5만원만 내면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었다. 분위기도 익숙하고 맛있는 밀크티집도 주변에 있고... 근데 초반에 바짝 다니다가, 뭔가 일하는 분위기가 안 나서 점점 안 가게 되었다. 강남에서 스터디 끝나고 가는데 마침 보인 스터디 카페! 프리랜서인 친구 하나가 스터디 카페를 애용하는데, 그게 생각나서 하루 이용해봤다. 소감은 음...너무 조용하고 폐쇄적인 느낌이라 공부하기엔 좋지만 일하기에는 별로였..

파이콘을 처음 갔던 게 2016년이었다. 개발자가 된 지 얼마 안 됐을 때여서 거의 모든 세션이 어려웠었는데 그래도 그냥 좋았다. 컨퍼런스에서 파이썬 커뮤니티 특유의 친근함과 포용성이 느껴졌다고 해야 하나.😌 재작년과 작년은 항상 이맘때쯤 여행을 가서 빠졌는데 올해는 다시 참가! 8월까지도 별 생각 없다가 막상 코엑스에 도착해서 내 이름표를 받으니 너무 설레는 거! 현재는 소속이 딱히 없어서 유씨 가문이라고 적었는데 고대로 프린트됐다😂 야심찬 계획은 이러했다. (토요일 아침엔 스터디가 있어서 키노트는 패스했다.) 8.17 14:10 ~ 14:35 정적 타입 검사로 더 나은 Python 코드 작성하기 15:05 ~ 15:30 하나의 Django 코드로 여러 사이트 운영하기 15:45 ~ 16:25 시간 복..

팀 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5주 정도 되었을 때, 가끔 만나 조언을 해주시던 팀장님이 일단 배포를 해보라 하셨다. 아직 개발은 진행중인데 벌써? 라고 생각했지만, 사실 배포에 대한 부담감이 커서 미리 해치워버리고 싶기도 했다. 얼마나 걸릴까 걱정하기보단 그냥 해보자 싶어서 주말에 어느 정도 공부한 뒤 바로 진행했다. 프론트엔드 배포에는 정적 사이트 배포 서비스인 Netlify를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다닌 회사에서 알게 된 서비스인데 무지하게 편하다. 백엔드 배포 역시 전 회사에서 눈여겨봤던 Elastic Beanstalk으로. 예전에 튜토리얼만 한 번 따라해본 적 있는데 직접 사용하는 걸 보고나니괜찮겠다 싶었다. 이번 글은 지식 공유보다는...나중에 내가 다시 보기 위해 적어둔다. 프론트엔드 배포 처음엔 ..

한 달이 참 빠르다. 여름에 쥐약인지라 매년 7월이 너무 길었다. 너무 더울 때면 두통이 와서 하루 이틀 간격으로 감기약을 먹곤 했다. 무언가에 짓눌려 있다가 서서히 풀려가는 듯한 몽롱한 기분이 싫지는 않았다. 끝내주게 더웠던 2016년 여름에, 내가 판피린을 먹고 멍 때리는 모습이 굉장히 인상 깊었다고 친구가 가끔 말한다. 그거 정말 감기약 맞냐고 여러 번 물어보기까지 했다.(ㅋㅋㅋ) 어쨌든 올 여름은 살 만 하다. 더울 땐 학교 도서관에, 비가 올 땐 집에 있는다. 3주차 흐려서 노을을 못 보는 게 좀 아쉬웠지만, 장마철의 세기말 분위기도 정말 좋아한다. 이날 훠궈를 먹었는데 정말 끝내줬다! 3주차 토요일에 영어 스터디를 나가 간만에 새로운 사람들을 만났는데, 처음 인사를 하자마자 스몰토크에 대한 욕..

😎 2019년 7월, 난생 처음 백수가 됐다. 대학교 방학을 제외하고는 성인이 된 후로 쉬어보는 게 처음이었다. 퇴사 직전, 여느 퇴사자들이 그렇듯이 이거 해야지! 저거 해야지! 원대한 계획들을 세웠었다. 그런데 함께 퇴사 여행(?)을 갔던 친구가 '퇴사 후 계획은 크게 5개 정도로만 잡는 것이 좋다'고 조언해줬다. 그렇지...나는 내 HP 총량을 안다. 그리고 그걸 전부 써서는 안 되는 것도. 그렇게 해서 줄이고 최적화한 목표는 다음 다섯 가지. 팀 프로젝트 전부터 해보고 싶었는데 마침 전에 다녔던 회사 팀장님께서 같이 해보자 하셔서 참가하게 됐다. 기한은 두 달 정도. 매일 4시간 반 정도를 팀 프로젝트를 위해 쓰고 있다. 영어 공부 혼자 할 자신은 없어 학원을 등록하고 스터디를 시작했다! 매일 아침..

서론; 휴대폰 인증을 위해 거쳐야 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유저가 휴대폰 번호를 입력한다. 해당 번호와 랜덤 숫자 4자를 DB에 저장한 뒤, 인증 번호(랜덤 숫자)가 담긴 문자를 유저에게 보낸다. (인증번호 전송 API) 유저가 인증 번호를 입력한다. DB에서 유저의 휴대폰 번호와 인증 번호를 대조한 뒤 맞다면 True를, 틀리다면 False를 리턴한다. (인증번호 확인 API) 여기서 2, 4번에서 필요한 API 두 개를 만들어보려 한다. 스펙은 다음과 같음 Django 2.2 PostgreSQL 인증번호 전송 API 1) 일단 유저의 전화번호와 랜덤생성한 숫자 4자를 auth에 테이블에 저장한다. auth 테이블은 단순히 phone_number와 auth_number 만을 저장하게 하고, pho..